영화2 조용한 시대에서 스트리밍으로, 영화 역사의 타임라인 (간략 정리) 세계 최초의 상업영화 1895년 11월 1일, 비오스코프를 제작한 독일의 스클라다노프스키 형제가 찍은 세계 최초의 상업 영화가 상영되었지만 대중들의 관심을 모으는데 실패하고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을 얻지 못했다. (역시 마케팅의 중요성이란...ㅎㅎ) 그로부터 두 달 뒤인 1895년 12월 28일, 시네마토그라프를 제작한 프랑스의 뤼미에르 형제가 파리의 그랑 카페에서 10편의 단편 영화를 상영했다. 이 중 첫 번째로 상영한 '공장에서 퇴근하는 근로자들'이 세계 최초의 상업 영화라는 타이틀을 가져가게 된다. 세계 최초의 극영화 뤼미에르 형제의 '물 뿌리는 정원사'가 세계 최초의 극영화이다. 1902~1908년, 에드윈 포터, 조르주 멜리에스를 시작으로 스토리를 담은 영화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전에 연극의 .. 2023. 3. 25. 영화 <아리랑>, 한국 영화의 시작점 기사로 알게 된 사실 한 달 전에 아바타에 관한 기사들을 훑어보다 알게 된 사실이 있다. 한국의 인구 1인당 연평균 영화 관람 횟수가 4.37회(2019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발표에 따르면)로 세계 1위의 수치이다. 미국이 4.0~4.2회 정도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대략 짐작이 될 것이다. 때문에 아시아 시장의 동향을 살펴보며 이후의 상영과 마케팅 플랜을 짜기 수월하여 한국에서 최초 개봉을 하는 영화들의 수가 증가 추세에 있다고 한다. 하지만 관람 횟수가 많다고 해서 한국이 밀도 있는 영화광의 나라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밖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야외활동에서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즐길 수 있는 여가 활동이란 요소가 더 크게 작용하는 것이 사실이다. 수많은 동호회, 취미와 관련된 모.. 2023. 3. 17. 이전 1 다음